오늘은 서울을 비롯해서 여러 지역에 눈이 내린다고 합니다. 수능 시험을 치른 학생들은 수능성적표를 어제부터 인터넷을 통해 확인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시험이 끝나자마자 어느 정도 자신의 성적을 가늠(자체 채점)할 수 있었겠지요. 좋은 성적을 받아 기뻐하는 학생도 있었을 것이고, 반대로 낙담하는 학생도 있을 것 같습니다. 누구인들 시험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 같습니다. 새벽부터 이렇게 글을 쓰게 된 이유는 어른 된 입장에서 미안해서입니다.

 

 한 번의 시험으로 인생의 항로가 결정되는 것이 아닌데, 현재 한국 사회는 그렇지 못하지요. 빠른 진로 선택이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최근에 인터넷에 공개된 <고등학생의 하루>라는 11초 동영상이 떠오릅니다. 자신의 선택해야 할 길에 대해서 많은 생각과 경험을 할 수 있는 여유가 주어져야 하는데, 그럴 시간이 없지요. 11초 같은 반복된 하루니까요. 지금의 제도에서는 대학교에 입학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니까요. 그렇다면 대학교에 가지 못하는 학생들은 ‘낙오생; 일까요? 절대 아닙니다. 하지만 사회여론은 그렇지 않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대학에 입학 하는 것이 맞는 걸까? 자신이 관심 있는 영역에서 사회경험을 2년 정도 해보고, 대학에 가는 것은 어떨까? 아시다시피 대학교에 입학하면 역시 시험의 늪에 빠져야 합니다. 자신의 전공보다 졸업 이후의 취업이 중요하니까요. 이런 교육시스템에서 학생들의 창의력이 살아날까, 많은 교육자들과 학부모님들은 생각하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교육개혁이라는 것이 쉽지 않지요. 여러 합의를 거쳐, 지속적으로 이루어내는 힘이 필요하니까요.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조변석개로 바뀌는 교육정책은 많은 사람들을 힘들게 할 뿐입니다.

 

 
저도 취업을 해서 직장생활을 오래 해보았지만, 전공과는 무관한 일에 종사 했습니다. 아마 대부분이 그럴 것 같습니다. 특히 인문분야는 더 그렇지요. 우리가 공부를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직업을 가지고 돈을 벌고 가정을 꾸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간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지요. 가치 지향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지만 자신의 선택한 길에 대해 후회를 하지 않지요. 가끔 학생들에게 이런 말을 듣습니다. 왜 공부를 해야 하냐고? 이제 그 물음에 답해 주어야 합니다. 시험이 없어 질 수는 없겠지요. 하지만 학생들이 보다 자신의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경험하는 시간들이 많이 주어졌으면 합니다. 젊은 시절 읽은 책 한권이 인생의 길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요즘의 학생들이 시험과 동떨어진 인문학 서적 한 권 읽을 틈이나 있는지요.



수능성적표를 받아본 학생 여러분, 성적이 좋게 나오지 않았다고 괴로워하지 마십시오. 기회는 여러 번 있으니까요. 학부모님들도 대화를 많이 나누었으면 합니다. 요즘은 평생교육시대입니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도 사라졌습니다. 공부도 제 때에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질 필요가 없습니다.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여행도 다니고 책도 읽고 생각의 폭을 넓혀 보시길 바랍니다. 세상은 우물 안 대학이 아닙니다. 세상은 넓고 할 일도 많다는 것을 기억해주셨으면 합니다. 


* 영화 한 편(발레교습소)도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나머진 하면서 알면되잖아,,, 이제 겨우 스무살인데..
젊음이라는거... 언제나 무언갈 할수있다는 그 자신감 그래서 젊은이 좋다."(발레교습소 중에서)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정기 구독도 + ^ ^)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

 

 


한 중년의 여교사가 승진 문제 때문에 자살했다고 합니다. 입시철이 끝나고 성적이 공개된 뒤에 학생들의 자살 소식이 간간히 들렸습니다. 그 때마다 가슴이 아팠습니다. 시나브로 그 숫자가 늘어났지요. 자살 소식을 전해들을 때마다 언론에서는 앞 다투어 보도를 합니다. 하지만 그 때 뿐이지요. 결국 성적, 시험 지상주의가 만든 시대의 자화상인데.

 
선생님의 자살 소식을 전해 들으면서 1989년에 만들어진 한국 영화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라는 영화 제목이 떠올랐습니다. 이제 학생뿐만 아니라 선생까지 성적순에 시달리고 있나 봅니다. 선생 뿐 이겠습니까. 직장인들도 마찬가지지요.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그런데 여전히 한국 사람의 행복은 성적순인가 봅니다. 한국의 행복지수는 어떨까요? 최빈국이라 불리는 부탄이라는 나라는 행복지수가 높지요. 그렇다면 행복은 어디에서 찾아야 될까요. 한 교사의 자살을 그냥 단순히 스쳐 보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내일은 수능성적표를 발급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최선을 다했지만, 실수로 성적이 좋지 않게 나온 학생들도 있을 겁니다. 한 번의 시험이 인생의 행로를 바꿀 수 없습니다.

 
자살공화국이라는 한국. 이제 자살은 막아야 합니다. 자살이 해답이 될 수 없습니다. 누구나 살면서 좌절할 수 있고 실패를 맛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상황을 이여내고 뚫고 가는 것이 인생입니다. 행복은 절대 성적순에 따라 오지 않습니다. 성적 보다 무서운 것은 성적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시선이 더 큰 문제입니다. 이제 사회는 행복이 성적순이 아니라고 다시 말해야 할 때입니다. 사회 제도는 성적에 따라 저울질 되지만, 결코 성적이 인생을 좌우하지 않는다고 어른들은 말해야 합니다.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이 좌절하지 않도록 따뜻한 말 한마디와 격려가 필요합니다. 자살의 절벽으로 학생들을 내몰아서는 안 됩니다. 학생뿐만 아닙니다. 편견의 시선을 버려야 합니다. 직업의 귀천 없이 누구나 떳떳하게 자기의 자리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칭찬해 주는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

 

"난 로보트도 아니고 인형도 아니고 돌맹이처럼 감정이 없는 물건도 아니야.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 "(영화 행복은 성적 순이 아니잖아요에 출연한 이미연 대사 중에서)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정기 구독도 + ^ ^)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