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기억하는 어린시절의 주요무대는 동네골목과 산, 냇가였다.

아주 시골은 아니었지만 ‘안양’의 수리산 밑에 있는

병목안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자란 나는

어린 시절을 생각하면 즐거운 미소가 퍼진다.

 

 

 

 

봄이 되면 50원주고 문방구에서 접었다 폈다하는 작은 칼을 사서

엄마와 동네 아주머니, 친구들과 산에 올라 쑥을 캤다.

쭈그리고 앉아서 쑥을 캐는 것 자체는 힘겨웠지만

어른들과 등을 나란히 하고 저녁상에 오를 반찬거리 마련에

내가 어떤 역할을 해낼 수 있다는 것에 어깨가 으쓱해졌던 것 같다.

 

 

여름에는 계곡에서 수영도하고 냇가 중간에 있는 큰 바위에 앉아

발을 담그며 노래도 부르고, 친구들과 수다도 떨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가을에는 우수수 떨어지는 울긋불긋 낙엽도 주워 모으고,

밤 따러 간다고 동네 오빠들과 큰 장대를 들고

이리저리 산을 휘저으며 돌아다니기도 했다.

산에서 주워온 온갖 식물들을 모아 빻고, 잘라 소꿉놀이도 하고,

또래 친구들끼리 요리경연대회도 하였다.

 

 

겨울이면 사슴목장 입구에 비치된 사료포대를 가지고 얼음썰매를 타고,

전쟁놀이를 한답시고 눈을 뭉쳐 무기로 만들어 놓고,

냇가근처 웅덩이를 요새로 만들어 전쟁놀이도 하였다.

그 때 나는 어엿한 공주였다.

대부분 남자였고 여자는 몇 명 없었기에 전쟁놀이를 할 때면 여자는 무조건 공주였다^^

 

 

비록 유치원에는 다니지 못했지만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면

나만큼 재미있고 의미있게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도 없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나는 내가 사는 마을사람들에게서, 혹은 마을의 골목에서,

마을의 자연 안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

 

 

쑥을 캐고, 부추와 무를 뽑으면서 자연의 신비로움과 감사함을 배웠고,

계곡에 떠내려 오는 쓰레기들을 보면서 자연을 아껴야한 다는 것을 깨달았다.

함께 추억을 만들어가는 친구들의 소중함과 스토리텔링을 통해

전쟁놀이, 요리대회, 소꿉놀이 등 우리 나름대로 연기도하고 이야기도 만들어 내면서

정말 세상 걱정 없이 신나게 놀았던 것 같다.

 

 

아프리카 속담 중에서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말이 있다.

나는 삶에서 그것을 터득하였다.

일터 나가기에 바빠 아침밥과 저녁밥 챙겨주기도 벅차했던 부모님을 대신하여

두 살터울인 나와 동생을 하루종일 봐주시던 옆집 할머니,

비료포대를 아낌 없이 장난감으로 내어주시던 사슴목장집 아저씨,

점심을 챙겨주시던 이웃집 선희언니의 엄마,

그리고 동네 언니들과 오빠들, 또래 친구들. 모두가 나의 부모이자 선생님이었다.

 

 

이러한 나의 경험은 ‘나의 아이만을 생각하고,

나의 아이만 키우기에도 바쁜 오늘날의 우리 부모들이

더 넓은 안목으로 자녀들의 꿈과 내일을 만들어 가야하는 이유’를

머리만이 아닌 가슴으로 느끼게 해주었다.

 

 

'울타리 없는 이웃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살을 결심한 잠자리  (0) 2014.07.03
공익근무요원의 데스노트  (0) 2014.06.03
미쉘오바마, 교육을 말하다  (0) 2014.04.17
인디언 스틱  (0) 2014.04.08
층간소음, 사랑의 편지로~  (0) 2014.04.03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


ⓒ 수영



말자 할머니.
올해 96세.
허리는 90도로 꺾이고 귀도 어두워
집에 누가 찾아와도 잘 모르시고
이빨도 다 빠져 말도 정확하게 못하신다.
평택의 외딴 초가집에 혼자 살고 계신다.

할머니는 일본 사람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만난 한국인과 사랑에 빠져 그를 따라 한국으로 건너오셨다.
사랑하는 가족을 버리고 따라왔건만 와보니 그에게는 이미 부인이 있었단다.
그 후 일본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낯선 한국 땅에서 쉽지 않은 세월을 살아냈다.
그 세월 동안 자식을 낳았고 손주도 보았고 몸빼바지에 스웨터를 입고
매해 밭에 파 마늘 심어 김장도 담그는 ‘한국 할머니’가 되었다.

그런 꼬부랑 할머니가 매일 그림을 그린다.
손바닥과 옷소매가 시커메지도록.
 
마음 붙일 곳 없는 낯선 땅, 찾아오는 이 없는 어두운 집에서
안그래도 작은 몸, 더 작게 웅크리고 하루종일 그림을 그린다.
종이만 있다하면 그린다. 그리고 또 그린다.
버려진 과자 종이가 할머니에게는 소중한 스케치북이다.

그 종이 안에서 할머니는 늘 수줍은 ‘소녀’가 되고
그토록 그리워하는 일본에 있는 가족을 만난다.
 초코파이(상자) 뒤에는 첫째 언니가 있고
계란과자 뒤에는 둘째 언니가 있다.
마가렛트 뒤에는 ‘젊은 아버지’와 ‘소녀인 할머니’가
기모노를 입고 함께 있다.
 
할머니는 그림이 담긴 종이들을 상자에 고이 담아
보자기에 싸서
누가 훔쳐갈까 숨겨두신다. 할머니의 보물단지다.
 
“손녀가 하나 있어.
 그 애한테 다른 거 물려줄게 없어서…
 이 그림들이 내 유산이야.”
 
할머니는 아마 오늘도 어두운 방에 웅크리고 앉아
유산을 불리고 계실 것이다.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정기 구독도 + ^ ^)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

 

 

 

 

 

어린 동무들에게


돋는 해와 지는 해를 반드시 보기로 합시다.

어른들에게는 물론이고 당신들끼리도 서로 존대하기로 합시다.

뒷간이나 담벽에 글씨를 쓰거나 그림 같은 것을 버리지 말기로 합시다.

꽃이나 풀을 꺾지 말고 동물을 사랑하기로 합시다.

전차나 기차에서는 어른들에게 자리를 사양하기로 합시다.

입을 꼭 다물고 몸을 바르게 가지기로 합시다.

 

 

 


 

 

어른들에게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치어다 보아 주시오.

어린이에게 경어를 쓰시되 늘 보드랍게 하여 주시오.

이발이나 목욕 같은 것을 때맞춰 하도록 하여 주시오.

잠자는 것과 운동하는 것을 충분히 하게 하여 주시오.

산보와 원족 같은 것을 가끔가끔 시켜 주시오.

어린이를 책망하실 때는 쉽게 성만 내지 마시고 자세자세 타일러 주시오.

어린이들이 서로 모여 즐겁게 놀만한 놀이터와 기관 같은 것을 지어 주시오.

대우주의 뇌신경의 말초는 늙은이에게 있지 아니하고

젊은이에게 있지 아니하고 오직 어린이들에게만 있는 것을 늘 생각하여 주시오.


우리들의 희망은 오직 한 가지 어린이를 잘 키우는 데 있을 뿐입니다.

다 같이 내일을 살리기 위하여 이 몇 가지를 실행합시다.

어린이는 어른보다 더 새로운 사람입니다.

 

 

 ‘어린 동무들에게’와 ‘어른들에게’는 동학운동을 하던 김기전, 방정환 등이 1923년 5월 1일 어린이날을 선포하며 발표한 <어린이날 선언문>에 있는 내용입니다. 80여 년 전에 쓴 이 당부의 말들이 여전히 새겨들어야 할 것들 뿐입니다.

 

 

 

 

 

 

 

 

 

사진을 찍은 강재훈 님은 이십 년 가까이 오지의 작은 학교들을 찾아가 사진에 담아왔습니다. 빠르고 큰 것만을 좇는 세태에 결국은 남아나지 않으리라는 걱정 때문이었을 겁니다. 그가 찾아갔던 작은 학교들은 이미 대부분 문을 닫았습니다. 특집에 실린 사진들은 학고재에서 나온 그의 사진집《들꽃피는 학교, 분교》와 가각본에서 펴낸《산골분교운동회》에 실린 것들입니다.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정기 구독도 + ^ ^)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