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시내에 가려고 마을 앞 버스 정류장에 나갔더니

벌써 아주머니, 할머니들이 먼저 나와 떠들고 있었다.

그 때 윗골목에서 정용이네 어머니가 보따리를 이고 나온다.

“어디 가시니껴?”

누군가 그렇게 묻자

“나, 트랄레스 풀러 가니더” 한다.

 

 

모여있던 아주머니들이 왁자지껄 웃는다.

나는 처음에 그 말이 무슨 뜻인지 몰라

어리둥절하고 있다가 가까스로 알아차렸다.

정용이네 어머니가 말한 ‘트랄레스’는 바로

요새 유행하고 있는 ‘스트레스’였다.

 

 

시골사람들은, 특히 아주머니나 할머니들은

말을 제멋대로 만든다.

창동이네 할머니는 봉고차를 꼭 ‘곰보차’라고 하고,

태진네 어머니는 경운기를 ‘제궁기’라 했다.

 슬리프를 ‘딸딸이’라 하고,

크림은 ‘구라분’, 승용차를 ‘뺀질이’라했다.

 

 

한동안 비누를 가지고 ‘사분’이라고 해서

대체 ‘사분’이란 말이 한자말인지 뭔지 궁금했는데

프랑스에서 사봉(savon)이라 한 것이

우리나라에 오면서 사분이 되었단다.

 

‘타바코’가 ‘담방구’였다가 ‘담배’로 변했듯이

우리말로 되어가는 과정이 희한하기도 하다.

언젠가 시외버스 정류소에서

어느 할머니가 차장한테 열심히 묻고 있었다.

 

 

“이 빵스 어디 가는 빵스이껴?”

그러자 차장이 한술 더 떠서

“이 빵스 서울 가는 사리마다시더”했다.

 

 

나는 가끔 내가 지금 쓰고 있는 말이 있기까지

그렇게 심각하게 이루어진게 아니라는 걸 깨닫고

혼자 웃기도 한다.

 

 

발췌 :「우리말과 삶을 가꾸는 글쓰기」 2000

'문화와 교육사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죄  (0) 2014.02.24
산타할아버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0) 2013.12.23
삶과 시(詩) 책속의 행복 Plan  (0) 2013.04.23
시바타도요 할머니!  (0) 2013.04.17
그 사람의 손을 보면  (0) 2013.04.11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