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딸을 가진 부모라면

여자아이 혼자서 한 달 이상의 여행을 떠난다고 할 때

이를 허락할 수 있을까 생각해 보면 19세기에 ‘금원’이 저지른 이 맹랑한 도전은

가히 시대를 넘고 남녀를 넘어 인간의 무한한 꿈과 가능성을 발견하게 한다.

 

 

 

 

1817년경 태어난 ‘금원’은 경인년(1830년) 열 네 살 나이에 남장을 하고

금강산과 관동팔경 등을 유람했고,

삼십대가 되어서는 용산 삼호정에서 여성들만의 시회(詩會)를 열었으며,

1850년 그동안의 여행기를 한문으로 기록한 책 《호동서락기》를 썼다.

충청도 호서지방의 호(湖), 금강산과 관동팔경의 동(東), 평양과 의주 등

관서지방의 서(西) 서울 한양의 낙(洛)을 다서 책이름을 《호동서락기》라 했다.

 

 

그녀는 강원도 원주 출신임에도 금강산을 좋아하여

관동 봉래산 사람이라고 자기를 소개한다.

아마도 양반가의 서녀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그녀는

‘어려서 잔병이 많아 부모님께서 어여삐 여기시어 여자의 일(女工)에 힘쓰지 않고

문자를 가르쳐 주셨다. 글공부 한지 얼마 되지 않아 경사(經師)를 통달하고

고금의 문장을 본받아 흥이 나면 때로 시문을 짓기에 이르렀다.’ 고 고백한다.

 

 

유람을 꿈꾸던 금원은 부모님을 설득하는데

이미 마음은 세상을 떠돌고 있어 유람을 가지 못하면 병이 더 깊어질 것 같으며,

나이가 어리기에 오히려 지금이 적당하다고 설득한다.

‘어린나이에 강산의 절경을 두루 돌아보며,

 증점(曾點)을 본받고자 한다면 성인께서도 옳다고 하실 것입니다.’

 

 

 결국 부모를 설득한 금원은 머리를 동자처럼 땋고 가마에 앉았다.

여행 일정은 대략 30~40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도 감히 엄두를 내지 못할 긴 여행이었다.

교통도 불편하고 외출할 때 가마를 타거나 장옷으로 얼굴을 가려야 할 정도로

여성의 외출에 엄격했던 조선시대를 살고 있었지만 금원의 정신은 자유로웠다.

 

 

‘눈으로 산하의 넓고 큼을 보지 못하고 마음으로 온갖 세상사를 겪지 못하면

 변화무쌍한 이치에 통달할 수 없어, 생각하는 것이 협소하고 식견이 넓을 리가 없다.

 옛말에 어진사람은 산을 좋아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고 했으니,

 남자라면 집밖의 넓은 세상에 뜻이 있는 것을 귀하게 여겼던 것이다.

 그러나 여자는 규방 문밖을 나가지 못하고 오직 술과 음식 만드는 일을 노하는 것만을 옳다고 하였다.

 (증략) 여자는 세상과 단절된 채 깊숙한 규방에서 생활하고 있는 탓에 아무것도 세상에 남기지 못한 채

 자취없이 사라지고 만다면 참으로 슬픈 일이 아니겠는가! ’

 

 

 금원은 어린나이에 금강산과 관동유람을 떠났고 돌아온 뒤에는 원주기생이 되어,

 시인기생으로 이름을 날렸다.

 남편 김덕희를 만나 소실이 되었고 의주 부윤이 된 그를 따라 평안도 일대의 관서여행도 해보았으며

 서울로 돌아와 삼호정에서 뜻 맞는 사람들과 시회도 열었다.

《호동서락기》는 열네살의 유람에서 시작하지만

 서른 네 살에 다시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며 쓴 회고록이다.

 

 

추사 김정희는 재종형 김도희(금원의 남편 김덕희의 친형)에게 보낸 편지에서

금원의 글을 읽은 소감을 다음과 같이 고백한다.

 

‘집안 아이들로부터 금원의 제문(祭文)을 얻어 읽어 보니 그 문장이 정(情에)에서 나온 것인지,

문장에서 정이 나온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마음 아파하며 곡진하고 도타운 슬픔과 애통함이

족히 사람을 감동하게 할 수 있는데 오리혀 이것은 두 번째입니다.

 

어찌 이처럼 기이한 글이 있단 말입니까? 글의 기운이 편안하고 구성이 반듯하며,

움직임은 패옥소리에 맞고 얼굴은 동관(역사를 기록하는 여자관리)과 같습니다.

화장을 짙게 한 여인의 기미는 한 점도 없고 옛날 여사(女士)의 요조한 품격만 있어,

턱 아래 3척 수염을 휘날리고 가슴속에는 5천자의 글을 담고 있는 제가

곧장 부끄러워 죽고만 싶을 뿐입니다. 우리 집안에 이런 사람이 있었는데도

 어떤 모양인지 알지를 못하고 하나의 심상한 테두리 속의 일개 보통사람으로만 보았으니

한갓 이 사람만 위하여 슬퍼하고 탄식하는 것이 아닙니다....’

 

 

《호동서락을 가다》는 금원이 다녔던 여정을 따라 저자가 직접 답사를 통해

금원의 글과 각 여행지를 소개하고 오류는 수정하면서 금원의 생각과 삶을 소개하고 있다.

이미 《왕을 낳은 후궁들》을 통해 우리 역사의 뒤안길로

숨겨진 여성들의 삶을 발굴하고 세상에 드러내는 역할을 해온 저자 최선경은

‘금원’이라는 시대를 행군한 여인을 발견하면서 그에 대한 글을 쓰기 위해 6년간 준비를 거쳤다.

 

 

기껏해야 우리 역사속의 여성인물이라 하면 신사임당이나 유관순이 전부인 나에게

 ‘금원’의 출연은 충격 그 자체였다. 이 글을 읽는 내내 매력적인 금원에 반하고 금원을 21세기에

 다시 탄생시킨 최선경의 탐구심과 글솜씨에 감탄했다.

 

 


 

호동서락을 가다 | 최선경 지음, 옥당

선 (KACE 상임이사)

'미디어 속 교육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바웃 타임, 어바웃 라이프  (0) 2014.02.26
도끼  (0) 2014.01.06
세상을 치유하는 나눔디자인  (0) 2013.11.21
It's not your fault  (0) 2013.09.30
꽃보다 할배  (0) 2013.07.11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