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미(米)자에 담긴 의미를 찾아서



엄마는 현미와 콩, 여러 가지 잡곡이 섞인 밥을 매 끼니마다 맛있게 먹는 네 모습이 참 예쁘단다. 우리 서희가 잔병치레 없이 무럭무럭 자랄 수 있는 것이 다 밥의 힘인 것 같아. 그런데 이 생각은 엄마만 했던 게 아니야.

 
유명한 히포크라테스도 음식으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의사도 못 고친다고 했고, 우리 조상님들은 먹을거리가 제일 훌륭한 보약이라고 해서 밥을 불사약不死藥, 반찬을 불로초不老草라고 했다는구나. 우린 매일 먹기 때문에 밥의 가치와 땀방울을 잘 모르는 것 같아.

 

그래서 조상님들은 하늘을 살폈단다

 
우리 집 주변에 많은 논이 보이지? 지금 논에는 작은 모들이 무럭무럭 자라고 있어.

 
많은 노력과 정성으로 키워낸 벼가 작년 가을 태풍 때 다 쓰러지는 것을 보면서 엄마는 농사란 하늘과 땅의 도움 없이는 절대 지을 수 없다는 걸 새삼 깨달았단다. 사람이 아무리 똑똑하고 농사기술이 뛰어나도 자연의 보살핌 없이는 불가능한 것 같아. 어찌 보면 사람은 그저 관리만 하고, 농사는 태양과 비와 바람, 흙이 짓는 것인지도 모르겠어. 그래서 예로부터 우리 조상님들은 하늘의 기운을 잘 살펴서 씨를 뿌리고, 수확을 하며 농사를 지었단다.

 

 

작년 수확 때 거둬둔 볍씨야

 

 

어떤 농사든 마찬가지겠지만 벼농사에서도 제일 중요한 것은 씨앗인 볍씨를 준비하는 일이야. 볍씨 준비는 지난 수확철부터 시작해. 종자로 쓸 볍씨는 벼베기 약 열흘 전쯤에 잘 익은 것을 빨리 베는데, 겉으로 보기에 ‘아직 베기에는 아깝다’는 느낌이 들 때가 가장 좋아. 벨 때는 반드시 낫으로 베야해. 콤바인 같은 기계로 세게 때리듯 베면 볍씨가 충격을 받아 건강하게 자라기 힘들거든.

 

베고 나면 꼭 거꾸로 매달아 그늘에서 말린단다. 천천히 말려야 영양분이 잘 살아있고, 볏대에 남은 영양분이 볍씨에 잘 모아져. 잘 말랐으면 털어내야 하는데, 이때도 볍씨에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 하나하나 손으로 털어내야만 해.

 

 

진달래 화전 먹는 청명에는 건강한 볍씨를 고르지

 

 

서희가 올 봄에도 열심히 따먹고 엄마랑 화전 부쳐 먹던 진달래 생각나니? 만물이 소생하기 시작하는 청명(4월 5일경) 앞뒤로 진달래가 피면 볍씨를 담그고 못자리를 골라.

 

아무리 잘 익은 볍씨라고 해도 다 종자로 쓸 수 있는 건 아니야. 그중에서도 특히 튼튼하고 실한 종자를 골라야 하는데, 제일 좋은 방법이 소금물에 담가보는 거란다. 달걀이 옆으로 누워 뜰 정도로 소금 농도를 짙게 해서 아래로 가라앉은 볍씨만 종자로 써. 잘 여문 볍씨는 아래로 가라앉거든.

 

볍씨 담그기가 끝나면 볍씨를 소독한단다. 관행논에서 사용하는 볍씨는 화학약품으로 소독하지만, 친환경 농법에서는 냉온탕법으로 소독해. 온도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4,50도씨의 물에 마른 볍씨가 든 자루를 30~50초간 담가두고, 다시 다른 통에 준비해둔 60도씨 물에 10분간 담가 자루 속 볍씨들이 잘 섞이게 흔들어 줘야 해. 그 다음 재빨리 찬물에 넣어 자루 속의 더운 기운을 식혀줘. 벼눈이 익어버리면 안되니까 빨리 해야 한단다. 이렇게 하면 병균은 물론 벼이삭 선충까지 예방할 수 있어.

 

볍씨를 소독했으면 이제 볍씨를 물에 담가 싹을 틔울 차례야. 물에 5일에서 7일 동안 담가두어야 하는데, 그냥 푹 담그는 것이 아니라 낮 12시간은 담갔다가 밤 12시간은 빼놓고 다시 담그는 과정을 매일 반복한단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볍씨에 적당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서야. 산소가 너무 많으면 잎사귀보다 뿌리 발육이 더 좋아져서 전체적인 생장에 좋지 않거든. 예부터 곡우(4월 20일경) 전에 종자를 담가야 수확이 많고, 삼월 곡일에(음력 3월 8일) 볍씨를 담그면 모가 잘 자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

 

 

 

감꽃 피는 곡우에는 못자리를 준비하고

 

 

곡우에는 못자리를 준비해. 아마 6월 초쯤이면 감꽃이 피기 시작할 거야. 진달래처럼 화려하지는 않지만 옅은 노란색으로 피는 은은한 감꽃이 엄마는 더 예쁘단다.

 

자, 그럼 못자리 준비를 시작해볼까? 우선 모판에 흙을 깔고, 씨앗을 넣고, 다시 흙을 덮고 나서 물을 준단다. 이렇게 모판을 만들고 씨앗을 넣으려면 일손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온 가족이 나서거나 동네사람들이 품앗이를 하며 서로 도와. 지난 일요일, 아빠가 한살림 공동 못자리에 가서 도와주신 것처럼 말이지. 우리 사는 동네에도 할아버지 할머니들만 계셔서 못자리 만드는 일이 점점 힘들어진다고 하니 참 안타까운 일이지.

 

 

 

자, 이제 여섯 잎 모를 키우자

 

 

모에는 보통 여섯 잎 정도가 달려있지? 첫 잎이 나오는 데 하루이틀, 두 번째 잎은 이삼일, 여섯 잎이 나올 때까지는 40일에서 45일 정도 걸리는데, 우리 조상님들은 여섯 잎이 났을 때 뿌리를 끊어내고 모내기를 했어.

 

모에 네 번째 잎이 나올 때쯤부터 모는 이유기에 들어가. 말하자면 씨젖의 양분이 다 떨어져서 모 스스로의 힘으로 크는 거란다. 씨젖의 양분이 떨어질 때에 맞춰 잎과 뿌리의 기능이 활발해져서 스스로 크는 힘이 커진다니 자연의 이치는 정말 오묘하고 놀랍지 뭐니. 그래서 관행농법에서는 이때를 모내기의 적기로 잡고 있대. 아직 씨젖의 양분이 남아 있을 때 옮겨 심어야 뿌리도 잘 내리고 몸살도 적다는 거지. 그러나 어린모를 심다보니 많은 포기의 모를 심게 되고(보통 10~15개), 그래서 가지를 잘치지 않는다는구나. 모는 가지치기를 잘해야 벼이삭이 많이 열리는데 말이지. 또 못자리에서 따뜻한 상태로 더 자라야 하는 모를 옮겨 심으니 모의 온도가 낮아져서 물이나 땅의 양분을 덜 흡수하는 곧은 뿌리를 많이 내리게 된대. 그래서 친환경 농법에서는 두 번째 가지치기 후, 곧 여섯 번째 잎이 나올 때 모내기를 해. 무조건 빨리 모내기를 한다고 빨리 많은 양을 수확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은 다 때가 있다는 생각이 들지?

 

여섯 번째 잎이 나올 때까지는 그냥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아기를 돌보는 것처럼 많은 정성을 기울여야 해. 뿌리를 제대로 키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온도 관리가 중요한데 물로 온도를 조절한단다. 또 부족한 양분을 보충해서 충분히 자라도록 해줘야 하고. 관행농법에서는 비료 주고 나면 끝날 일을 온도 관리, 물 관리, 양분 보충을 하면서 모를 키워내는 거야.

 

이렇게 모를 키워내는 사이 모를 옮겨 심을 본답도 준비해둬야 한단다. 3월 말부터 5월 초까지 땅을 두세 번 갈아서 잡초를 없애고, 논둑을 30센티미터 이상 높이로 만들어 모든 벼에 물이 고르게 갈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해. 나물과 꽃으로 우리를 즐겁게 해주었던 자운영(비료로 쓰기 위해 키우는 풀)도 모내기 2주 전에는 갈아엎어서 땅의 힘을 높여야 하고 말이지.

 

 

망종, 대추꽃이 피면 모내기를 시작해. 그럼 뻐꾹새는 부지런히 모내기를 하라고 재촉하지

 

 

 

예로부터 모내기의 적기는 6월 6,7일경인 망종 때라고 했어.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서일까, 지금은 예전보다 조금 빨리 모내기를 하는 것 같아. 5월 중순 소만이 지나 모내기를 시작해서 5월 말까지 전국 곳곳에서 모내기가 이어진단다. 대추꽃이 피면 모내기를 시작하고, 치자꽃, 밤꽃이 만발하면 모내기가 한창이며, 뻐꾹새는 모내기를 부지런히 하라고 운다니 농부들의 지혜며 말들이 참 놀랍고 어여쁘지?

 

친환경 농법에서 모내기의 핵심은 적은 수의 모를 매우 드물게 심어야 한다는 거야. 15포기를 심는 관행농법과 달리 두세 포기를 한 줄로 심어야 하는데 신기하게도 이렇게 보잘것없고 초라해 보이는 친환경 농법의 모가 나중에 더 가지치기를 많이 해서 이삭도 많이 달리고 건강하게 잘 자란다는구나. 많이 심으면 보기에는 좋을지 몰라도 벼가 건강하게 자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웃자라서 잘 쓰러지고 이삭도 적게 열린대. 벼들도 너희들처럼 마음껏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줘야 하는데 사람의 욕심이 지나쳐서 벼들이 힘들게 크나봐.

 

 

 

 

신나는 단오잔치 후엔 잡초와의 싸움이지

 

 

 

모내기를 끝내면 곧 단오가 돌아와. 우리 가족 모두가 한살림 단오잔치에 가서 논에 오리도 넣어보고 고사도 지냈던 것 서희도 생각나지? 이 날은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풍년제가 열리는 날이야. 본격적인 농사와 여름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날이기도 하고.

 

모내기를 하고 나서도 농부들은 모가 뿌리를 잘 내렸는지 꼼꼼히 살펴봐야해. 뿌리 내림이 좋아야 벼가 가지치기를 잘한다는 건 당연하겠지? 그래서 특히 물 관리가 중요해. 따뜻한 물을 충분히, 깊게 대주어야 가지치기도 잘하고 잡초도 덜 자라거든.

 

그러고 나면 이제 잡초를 잡기 위한 농부들의 본격적인 경주가 시작된단다. 유기농하면 첫째도 풀매기요, 둘째도 김매기라고 할 정도로 잡초 제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거든. 오리와 우렁이가 풀매기를 도와주는 친구들이긴 한데 요즘은 조류독감 때문에 오리농법을 거의 못할 것 같아. 오리는 잡초를 먹기도 할 뿐 아니라 잡초씨가 트는 것을 막고, 벼에 달라붙어 있는 벌레까지 잡아먹는데다가, 오리가 싸는 똥은 거름이 되었는데 참 속상하지 뭐니.

 

다른 방법으로는 왕우렁이를 놓아기르는데 오리보다 풀을 훨씬 잘 먹는 대식가라고 하는구나. 그렇지만 벼 포기 사이에서 자라는 피는 우렁이도 해결하지 못하니 사람이 손으로 직접 뽑아줘야 해. 우렁이의 도움을 받으려면 우렁이가 제초를 잘 할 수 있게 논바닥을 고르게 해야 하고, 도망가지 못하게 물꼬도 망사로 받쳐주고, 황새 등의 피해를 막는 것도 중요해.

 

 

처서 지나 신비한 벼꽃이 피고

 

 

장마와 삼복더위를 보내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한다는 처서(8월 23일 경)가 되면 벼꽃이 필거야. 벼꽃이 한창 피는 처서에 비가 오면 쭉정이가 생겨서, 이삭 팰 때 비 한 방울은 눈물 한 방울이란 말이 생겨났나봐. 부끄럽지만 엄마도 아직 벼꽃을 본 적이 없어. 벼꽃은 오전 10시쯤부터 두 시간 정도만 핀대. 벼는 꽃 하나에 암술 수술이 모두 들어있고, 오전에 한 번, 두 시간 정도만 꽃을 피우기 때문에 타가수분(벼의 꽃가루가 다른 식물의 암술머리에 붙는 일)이 거의 되질 않는대. 그래서 잡종이 잘 나오지 않고, 사람이 새로운 종자를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다는구나.

 

병충해도 참 어려운 문제야. 긴 장마에 잎도열병이나 혹명나방, 벼멸구가 기승을 부린다는 뉴스를 자주 봤을 거야. 농약을 치는 관행농법에서도 병충해가 심하면 논을 갈아엎기도 하는데 친환경 농법에서는 얼마나 어렵겠니. 친환경 농자재가 있기는 한데 농약만큼 효과적이진 않아. 친환경 농자재도 화학약품이 아닌 자연에 가까운 것으로 만들었으니까 말이지. 그래서 땅의 힘을 살리고 미생물을 살리면서 최대한 벼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미리 마련해주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거란다.

 

 

 

가을, 이제 잘 익은 벼를 베자!

 

 

드디어 가을이면 이렇게 잘 자란 벼를 수확해. 정확히 이삭 팬지 45일 정도면 수확할 수 있어. 벼는 상강(10월 23일 경) 전에 베어야 한대. 서리를 맞으면 이삭이 부러지기 때문이지. 요즘엔 거의 콤바인이라는 기계를 사용해서 탈곡을 해. 예전엔 홀태나 탈곡기로 했었어. 한살림에서 하는 가을 행사인 메뚜기 잡기에 참여해 보면 벼를 낫으로 베고 홀태나 탈곡기에 벼를 탈곡할 수 있단다.

 

탈곡된 벼는 바로 먹을 수는 없고 정미소에 가서 도정을 해야 해. 겉껍질(왕겨)만 벗겨낸 것이 현미이고, 쌀겨층을 50퍼센트만 벗겨내어 쌀눈을 남겨둔 것이 5분도미란다. 현미는 단백질, 지방, 칼슘, 섬유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깎으면 깎을수록 영양분이 적어져. 그러니 현미가 백미보다 영양분이 훨씬 풍부하겠지? 하지만 아무래도 거치니까 꼭꼭 씹어 먹어야 해.

 

봄에 뿌린 볍씨를 가을이 되어 수확할 때까지 농부의 손길이 여든여덟 번 필요하다니 얼마나 많은 노력과 애정이 필요한지 상상이 가니? 작물은 농부의 발소리를 듣고 자란다는 말처럼 농부의 손길뿐만 아니라 정성어린 관심과 마음이 중요한 것 같아. 서희가 엄마아빠의 사랑 속에 크는 것처럼 벼도 농부의 사랑 속에서 크는 걸거야.

 

작년에 엄마는 무더위가 끝나고 시원한 바람이 불어 참 좋아했었는데, 그 때 농부들은 수확을 앞둔 벼가 바람에 쓰러질까봐 밤잠도 제대로 자지 못하고 논에 나와 일하는 모습을 보고 많이 미안했단다. 밥맛이 좋은 쌀은 더 잘 쓰러진다고 하더라. 올해는 농부가 마음 졸이는 일이 없기를, 하늘님이 잘 보살펴 주시길 기도하자구나. 정성껏 키운 쌀도 열심히 먹고! 물론 중국쌀, 미국쌀이 아닌 우리 쌀을 말이지!

 

여든여덟 번 농부 손을 거쳐

 

벼 한 알, 이렇게 한 그릇 밥이 돼요

 

 

 

 

*날짜는 올해 기준이며 지역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예년보다 모내기가 조금 빨라졌으며, 변덕스런 날씨 탓에 수확날도 들쭉날쭉 하다.


글/이상희(살림이야기)
 

*참고: <벼가 자란다> (김시영 그림, 보리출판사 펴냄)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정기 구독도 + ^ ^)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