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는 영재의 요람인가, 무덤인가?
미디어 속 교육이야기 2011. 4. 8. 06:31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학생이 또 자살했다고 합니다. 올해들어 엊그제 같은 세번째 자살 소식을 뒤로하고, 네번째 자살 사건이 발생했네요. 카이스트만의 베르테르효과(동조자살)입니까. 슬픈 현실입니다. 과학기술 영재의 요람인 카이스트. 영재의 무덤이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됩니다. 가볍게 스쳐 지나갈 수 없는 일입니다. 자살한 학생은 우리들의 자식이요, 형제요, 친구일 수 있으니까요. 카이스트는 지난 5년간 8명의 학생이 자살했습니다. 자살 이유는 다 다르겠지만, 공통분모를 찾아야 합니다.
세번째 자살 소식이 들리자, 카이스트 서남표총장은 해결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글을 남겼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근원적인 처방이 필요하다며, 카이스트의 징벌적(경쟁적) 등록금제와 경쟁,성적지상주의 학칙과 대학 문화(풍토)를 비판했습니다. 징벌적 등로금제는 왜 도입이 되었을까요? 카이스트 입학생들은 전액 장학금 혜택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 제도가 도입되면서, 일정 학점에 도달하지 않으면 최대 800만원까지 등록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특별전형은 왜 도입했나요? 성적순 일반 전형과 다른 시점과 관점으로 영재를 키워내겠다는 것 아닌가요. 그렇다면 기다림이 필요합니다. 단순 경쟁이 아니라 상상력을 꽃피울 수 있는 배경을 만들어 주어야지요.
카이스트 학생의 자살 논란이 공론화되자, 문화평론가 진중권은 노컷뉴스와 가진 인터뷰를 통해 카이스트현상에 대해 지적했습니다. 카이스트 학생 자살을 바라보는 관점은 다르겠지만, 되새겨 볼만한 내용이기에 소개할까 합니다. " 흔히 우리는 경쟁만 하면 뭐든 게 다 잘될 것이라는 이상한 신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게 아니거든요... 찰스 퍼시 스노라고 아주 유명한 분이 있죠. 세계적 논쟁을 낳았던 책(두 문화와 과학혁명), 우리나라에서도 번역됐는데요 그 책의 저자입니다. 그 책에 이런 말이 나와요. 옥스퍼드 대학에서 그동안 했던 개혁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학과를 일등으로 졸업한 학생에게 표창장을 주는 제도가 있었는데 그것을 없앤 것이라고 그러더라구요. 왜냐하면 옥스퍼드 수학과를 1등으로 졸업했다, 얼마나 큰 영예겠습니까? 그래서 학생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서 엄청난 경쟁을 벌였는데요. 문제는 그 포상제도를 도입한 이후에 옥스퍼드 대학에서 100년 동안 수학자가 한 명 도 안 나왔다는 겁니다. 쉽게 말해서 수학시험에서 점수 잘 받는다고 훌륭한 수학자가 되는 건 아니고, 또 점수 경쟁이라는 것이 오히려 수학적 창의성의 발달을 가로막아왔다는 얘기 아니겠습니까?"
아인슈타인이 카이스트에 재학중이었다면, 과연 상대성 이론이 나왔을까요? 아무쪼록 이번 사건을 계기로 카이스트뿐만 아니라, 우리 교육 문화를 다시 점검하고 개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경쟁과 학점을 없애자는 것이 아니라, 진정 학생들의 재능을 살리고, 능력을 키워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반성해야 한다고 봅니다. 무엇이 옳다 그르다, 모든 것을 일률적으로 적용시키자는 것이 아니라, 시나브로 교육문화가 바뀔 수 있도록 작은 단위에서 부터 실천이 필요할 때입니다. 또한 한국의 경쟁적 교육문화가 정말 세계의 중심에 내놓아도 경쟁력이 있는지 따져 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무쪼록, 다시는 어떤 이유든, 자살하는 학생이 없었으면 합니다. 막연하게 학생의 개인 탓으로 돌리지 말고, 근원적 처방을 마련했으면 합니다.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정기 구독도 + ^ ^)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미디어 속 교육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룡과 빌게이츠가 다르면서 같은 것은? (0) | 2011.04.10 |
---|---|
섬진강 시인 김용택의 자녀교육법? (0) | 2011.04.09 |
카이스트 대자보와 6만 원짜리 천재들 (0) | 2011.04.07 |
카이스트 총장, "실패하고 좌절해보았기에.." (0) | 2011.04.05 |
카이스트교수가 말하는 학생자살 근본 대책은? (1) | 201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