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비명을 지르며 쓰러지기 전에, 더 많은 아이들이 아토피나 천식으로 고생하기 전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알고 있는 그대로 살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노력하는 것뿐인 듯하다."

 

 

미나리 밭에 대한 기억

 

지리산에 있는 교육원을 방문한 적이 있다. 지리산 골짜기라 사용되는 모든 물은 지하수였다. 그곳에 도착하자마자 들어야 했던 이야기는 물이 부족하니 물을 아껴 쓰라는 말과 샴푸나 치약 등 합성세제 사용은 안 된다는 말이었다. 물이 부족한 건 알겠지만 사용하는 세제 종류까지 까다롭게 제한한다고 생각하는 동안 세면장 옆에 있는 미나리 밭이 눈에 띄었다. 부엌과 세면장에서 쓰고 버린 물은 모두 미나리 밭으로 흘러들어 일차적으로 정화를 마치고 다시 계곡으로 흘러가고 있었다. 합성세제는 미나리 밭이 소화할 수 없는 이물질이었기에 사용하지 못하게 했던 것이다.

 

아무리 미나리가 자라고 있어도 밭으로 구정물이 흘러드는 모습이 보기 좋지는 않았다. 다만 내가 쓰고 버린 물이 밭으로 모여드는 모습은 내가 얼마만큼의 물을 쓰고 더럽히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었다. 오늘 아침 버린 세숫물이 어디로 갔는지 한 번도 고민해보지 않았던 사람들에게 그 더러운 미나리 밭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을 것이다. 미나리 밭을 핑계로 씻기를 게을리 했지만 모두들 비슷한 처지였으므로 기름진 머리를 탓하는 사람도, 깨끗하기를 강요하는 사람도 없었던 기억이다.

 

수돗물도 생수도 믿을 수 없어

 

이제 우리나라에서 수질오염이 심각하다는 것을 부인할 사람은 몇 없다. 당연히 수돗물이 믿을 만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찾아보기 드물다. 수돗물을 그냥 마시는 사람이 전 국민의 1%도 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이를 단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용인에 사는 박미정 씨는 결혼 9년차 주부다. 황토옹기로 정수한 물을 먹는 박미정 씨에게 수돗물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느냐 물었더니 단호하게 아니란다.

 

“염소 소독 등을 하니까 믿지 못하겠어요. 그리고 다른 화학적 처리방법도 안전하다고 할 수 없고. 음식도 조리 과정이 길어질수록 영양성분이 파괴되는데 물도 그런 처리 방법들이 늘어날수록 좋지 않은 거 아닐까요? 생수도 믿을 만하지 않아요. 생수도 유통기간이 있는데 소비자에게까지 오는 동안 시간이 많이 걸리잖아요. 할인점이나 식당 정수기에서 대장균이 나왔다는 보도를 보니 정수기도 못 믿겠더라고요.”

 

집에서 알칼리 정수기를 사용하는 정영희 씨도 비슷한 생각이다.

“수돗물은 정수장에서는 깨끗할지 모르겠지만 오래된 수도관을 지나오니까 불순물이 남아있을 거 같아요. 수도관 단면을 보여준 다큐멘터리가 있었는데 정말 말도 아니더라고요. 생수요? 생수는 거의 플라스틱 병에 담기는데 오래되면 환경호르몬이 나와서 안전하지 않은 것 같아요.”

수돗물, 생수, 지하수 모두 정말 안심하고 먹을 만한 물이 아니란다. 그럼 정말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물은 뭐냐는 질문에 대답은 확신이 없다. 정영희 씨는 정수한 물을 끓여 먹으면 좀 안전할 것 같다고 대답을 했지만 여전히 자신이 없는 얼굴이다. 우리는 물에 대한, 특히 마시는 물에 대한 깊은 불신 시대에 살고 있는 셈이다.

 황토구슬을 넣은 옹기를 사용하는 박미정 씨

 

 

이 물을 마시는 까닭

 

박미정 씨 집에 찾아가니 대나무 소쿠리에 황토구슬을 담아놓고 햇볕에 말리고 있다. 이렇게 말린 황토구슬을 옹기에 담고 그 안에 수돗물을 담아 24시간이 지나면 따라 마신다. 수돗물을 이렇게 마시게 된 이유를 물었다.

 

“어떤 할머니가 과일은 빛깔이 달라지면 버려야 된다고 하더라고요. 과일도 물을 먹고 자라는데 그 안에서 얼마나 썩었으면 빛깔이 달라지겠냐고, 그 말을 듣고 나니까 내 몸에 들어가는 물도 좋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박미정 씨 가족이 황토구슬로 정수한 물, 즉 황토지장수를 마시기 전에는 보리차도 끓이고 정수기도 사용했었단다. 그러나 그 때는 물이 안전한지 늘 마음 한구석이 찜찜했다. 아이가 아토피와 천식으로 고생하고 있었기 때문에 먹는 물에 대한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할머니 이야기를 듣게 되고 인터넷을 뒤지다 지장수에 대한 정보를 만난 뒤 물 마시는 방법을 바꾸게 된 것이다.

알칼리 정수기를 사용하는 정영희 씨

 

지장수를 마시기 시작한 지는 3~4년이 지났다. 이젠 일주일에 한 번씩 황토구슬을 삶고 말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그다지 어렵지 않게 여겨질 만큼 익숙해졌다. 물을 바꾸고 난 뒤 특별한 변화가 있었을까. 박미정 씨는 물맛이 특별히 좋아졌다고 느껴지진 않는단다. 예민한 사람들은 물에서 황토 냄새가 난다고 하지만 자신은 물이 약간 부드럽게 넘어간다는 것 빼곤 어떤 특별한 변화를 느끼진 못한다고. 다만 물을 바꾸고 난 뒤 아이의 아토피와 천식이 좋아졌으니 아무래도 수돗물이나 정수기물보다는 좋지 않겠냐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듯했다.

 

그렇다면 알칼리 정수기를 사용하고 있는 정영희 씨 가족이 마시는 물을 바꾼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정영희 씨 가족은 신혼 초부터 정수기를 사용했는데 처음엔 건강보다는 친한 친구의 권유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그러다 알칼리 정수기로 바꾸게 된 것은 딸아이의 아토피 때문이었다. 아픈 아이 때문에 먹을거리와 건강의 연관성에 눈뜨다 보니 자연스럽게 물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여기게 되었던 것이다. 특히 정영희 씨가 수돗물을 믿지 못한 것은 지은 지 15년이 넘은 아파트의 낡은 수도관 때문이었다. 정수장에선 깨끗할지 몰라도 수도관을 타고 집에 도착하는 동안 물이 오염되진 않을지 불안했던 것이다. 가족들의 노력 덕분에 딸아이의 아토피는 많이 좋아졌지만 알칼리 정수기를 사용하는 지금도 물맛이 특별히 좋다거나 하는 건 잘 모르겠단다.

 

정영희 씨 주변 사람들은 대부분 정수기를 이용하거나 생수를 사다 먹는다고 한다. 예민한 집은 정수기물을 끓여먹기도 한다고. 정부에서 온갖 실험 수치들을 들이대며 물이 안전하다고 강조해도 여전히 사람들에게 수돗물은 못미더운 존재다. 한때는 근대국가의 상징이기도 했으며 무수한 의사들도 해내지 못한 건강지킴이 역할을 해냈다는 찬사를 들었던 수도시설이 이제는 마시기에 부적합한 물이라는 딱지를 떼지 못하고 있다. 수돗물을 대신하는 정수기물도, 생수도 안심하고 먹기에는 마음이 편치 않다. 여전히 이게 정말 안전할까하는 일말의 의구심이 마음속을 떠나지 않는다. 물을 가지고 하는 갖가지 실험과 시험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이미 세상이 오염될 대로 오염되어 있다는 사실이 모두의 마음속에 있기 때문은 아닐까 싶다.

 

서울의 하천 중에는 발 담그고 물장구칠 만한 곳이 한 군데도 없으며 강원도 산골에도 산성비가 내리고 있다는 사실이, 장마가 지난 다음 떠밀려온 쓰레기로 몸살을 앓는 팔당호가 물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크게 만들어낸다. 물에 대한 불신은 바로 세상이 그만큼 더렵혀지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불안감인 것이다.

 

 

세숫물에 발 씻고 걸레 빨고

 

환경문제의 특이한 점은 우리 모두가 피해자이자 동시에 가해자라는 점이다. 서울에서 하루에 배출되는 하수 중 98%를 생활하수가 차지하고 있다. 과거에는 공장폐수가 수질오염의 주된 오염원이었다면 이제는 생활하수도 주된 오염원 중 하나가 된 것이다. 더구나 물은 한 번 쓰고 버리면 더럽건 깨끗하건 바로 하수가 된다. 10,051km의 하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에 모인 물을 정화시키는 데 드는 비용은 하루에 3억 원. 돈도 돈이지만 정화시킨 물을 한강에 흘려보낼수록 물은 더욱 오염되니 수질오염을 막는 최선의 방법은 물을 적게 쓰는 것일 게다.

 

미국이나 영국민들은 변기에 내리는 물로만 하루에 50ℓ를 사용하는 데 반해 빈곤층들은 하루 5ℓ도 안 되는 오염된 물로 연명하고 있다.

우리 가정에서는 물을 어떻게 쓰고 있는지 궁금해서 박미정 씨와 정영희 씨에게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박미정 씨 가족이 한 달에 쓰는 물의 양은 20여 톤(약 2만ℓ)이다. 일인당 하루 평균 166.6ℓ를 사용하는 셈이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은 목욕물. 온 집안 식구가 하루에 한 번씩 목욕을 하기 때문에 목욕하는 데 가장 많은 물이 사용된다. 박미정 씨 가족과는 달리 실제 우리나라 생활하수 양을 비교해 보면 부엌에서 나오는 하수가 가장 많고 다음이 화장실, 목욕탕, 세탁 순이다.

 

박미정 씨는 허드렛물을 빨래하는 데 재사용하여 물을 아끼려고 노력한다. 아이들 목욕물이나 채소 씻은 물을 세탁기에 넣거나 빨래 삶은 물로 화장실을 청소하는 등 사용한 물을 한 번 더 재사용 한다. 애벌빨래를 해서 세제사용량도 줄이는데 그런 때면 왠지 뿌듯한 것이 ‘이 정도면 나도 착실한 주부구나’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경상도 문경에서 보낸 어린 시절에는 더욱더 물을 아껴서 사용했었단다.

 

“집에 수도시설이 설치된 게 초등학교 3학년 때였어요. 그 전에는 우물에서 물 길어다 쓰고 우물가에서 빨래하고 그랬어요. 엄마가 빗물을 받아서 그 물로 빨래를 하기도 했죠. 세숫물 안 버리고 놔두면 그 물에 발 닦고 다시 걸레를 빨곤 했어요. 예전엔 하수구에 물을 버리면 그대로 동네 냇가로 흘러들어 가니까 물이 오염되는 게 보이잖아요. 누가 말 안 해도 자연스럽게 물을 아껴 써야겠구나, 더럽히면 안 되겠구나 알았던 거 같아요.”

 

그러나 요즘은 자신도 그렇지만 아이들에게 물을 아껴 쓰라고 하기가 힘들다고 한다. 정영희 씨 이야기 속에서 그 이유를 엿볼 수 있었다.

 

“우리 집은 세탁에 쓰이는 물이 가장 많고 다음이 목욕물인 거 같아요. 가족이 중학교, 초등학교 다니는 아이들 포함 네 명인데 10kg짜리 세탁기를 일주일에 두 번 돌려요. 아이들은 보통 하루에 한 번 옷을 갈아입는데, 초등학생인 아들 녀석은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에는 하루에 두세 번도 갈아입죠. 남편 와이셔츠도 하루에 한 번씩 갈아입고, 가족들이 속옷도 매일 갈아입으니까 일주일에 두 번씩은 세탁을 해야 돼요. 목욕물은 가족들이 반신욕을 좋아해서 사용되는 물이 많아요. 머리도 매일 감으니까 양이 많겠죠. 사실 아프리카 같은 데서 물 부족 이야기가 나오면 아끼고 살아야 된다는 생각이 들다가도 수도꼭지만 틀면 물이 콸콸 나오고 버리면 어디로 가는지 보이지도 않으니까 물을 아껴야 한다는 생각이 잘 들지 않아요. 아이들도 그런 거 같고요. 깨끗하고 청결한 걸 우선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물 사용량을 줄여보겠다고 씻는 걸 줄인다거나 청소를 덜 한다거나 하기는 힘든 거 같아요.”

 

정영희 씨는 궁여지책으로 아이들에게 물이 돈이니 아끼라고 한다지만 그다지 먹혀들지 않는다는 것을 자신도 알고 있다.

 

양변기 문화 위에서

 

정영희 씨와 마지막에 나눈 이야기다. 한 친구가 ‘현대문명은 양변기 문화’라고 이야기하는 것을 들었다. 화장실 변기 손잡이를 누르는 순간 내가 쌓아놓은 똥 덩어리는 물과 함께 휩쓸려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다. 어디로 갔는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 수도 없고 알 필요도 없다. 그래서 사람들은 눈에 보이지 않으면 없는 것,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면서 똥 덩어리와 나 사이에 놓인 순환 구조를 이해하지 못한다. 삶의 전 과정을 유기적인 관계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단절로 만들어가는 문명, 우리의 하루하루는 좋던 싫던 이 속에 엮여 돌아가고 있다. 이 속에서 혼자 물을 아끼겠다고 궁상을 떨기란 얼마나 힘든 일인가.

 

안심하고 먹을 물도 없는 시대에 왜 물을 아끼지 못하느냐고 구박하기엔 우리는 너무 풍족하다. 나 역시 물 오염을 생각해 쓰고 있는 세제 종류를 줄여보려고 궁리했지만 어느 것 하나 쉽게 포기할 수 없었다. 주방세제를 없앨 수도, 세탁세제를 없앨 수도 없고, 그렇다고 세수를 빨래비누로 하기도 힘들고. 결국 세제종류를 더 늘이지 않는 것으로 슬그머니 타협해 버리고 말았다.

 

세상이 비명을 지르며 쓰러지기 전에, 더 많은 아이들이 아토피나 천식으로 고생하기 전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알고 있는 그대로 살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노력하는 것뿐인 듯하다.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정기 구독도 + ^ ^)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