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스민, 첫 이주민 출신 국회의원 되다
다니고 싶은 학교만들기 2012. 4. 19. 14:43
영화 <완득이>에서 완득이 엄마로 나왔던
자스민씨가 헌정사상 첫 이주민 출신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자스민 당선자에게 쏟아진 인터넷상의 ‘외국인 차별·혐오’(제노포비아) 발언은
급속도로 다문화사회가 된 한국사회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요즘 '뽀뽀뽀'나' TV유치원'과 같은 유아 프로그램을 보면
백인과 흑인 아이들이 종종 등장하다.
처음 봤을때 외국인 아이들인가 할 수도 있겠지만
한국말을 너무나 예쁘게도 잘하는 우리 아이들이다.
말 그대로 얼굴색만 약간 다를 뿐,
한국의 땅에서 뽀로로를 좋아하고, 한국음식을 잘 먹는
평범한 우리 아이들이다.
현실적으로 다문화 인구가 140만명에 이르고
학교와 일터, 동네에서 ‘이웃’처럼 마주치고 있으나
우리의 다문화 수용성은 어떠한가?
'다문화 가정'
'세계화 시대'
거창한 말들은 많이 하지만...
아직도 뽀뽀뽀나 TV유치원에 등장하는
다른 인종처럼 보이는 아이들을 보면
외국인인가 하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되는 어른들.
우리나라 국민의 인종-문화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가?
.
.
.
2011년도 여성가족부는 GH코리아에 의뢰해
우리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지수를 조사한 결과를
2012년 4월 18일 발표했다.
이번 지수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개발한 36개 항목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올 1월까지 전국 성인 남녀 2,5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해 산출됐다.
우리 국민이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다문화수용성지수'는 100점 만점에 51.2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문화 공존에 대해 찬성하는 비율은
유럽 18개국 평균 73.8%에 비해 37.5%나 낮은 36.2%를 기록했다.
국민 정체성 항목 비교에서도
비교대상 37개국 중 한국인은 필리핀, 베네주엘라 다음으로
혈통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6.5%는 한국인 조상을 가지는 것이
국민정체성의 중요한 일부라고 답했으며,
90.7%가 '한국어 사용'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다문화 관련 교육이나 행사에 참여한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게 나왔으나
다문화 관련 교육경험이 없는 국민이 76.1%,
행사참여 경험이 없는 국민이 82.4%로
많은 국민에게 관련 교육과 행사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대중매체에서 다문화 관련 내용을
자주 접하는 국민 비율도 평균 17%에 불과했다.
다문화관련 교육이나 행사에 많이 참석한 사람들이
비교적 다문화 수용성이 높았다.
다문화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는 집단(48.9점)의 수용성은 교
육을 자주 받아본 집단(56.6점)보다 낮았다.
다문화 행사 참여 경험이 없는 집단(50.4점)보다
자주 참여한 집단(55.8점)이 더 높았다.
다문화 관련 교육을 거의 안 받아봤다는 응답(76.1%)과
다문화 관련 행사에 참여한 경험이 거의 없다는 응답(82.4%)이 과반수였다.
한국의 결혼이민자 수는 점점 많아지고,
외국 이주민 친인척이 있는 집단의 다문화수용성지수도 51.8점에 불과해다.
이 집단에서는 이주민이 한국의 문화와 관심에
순응할 것을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정도가 강햇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젊고, 학력이 높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높았다.
수용성은 20대(53.9점)에서 가장 높이 나타났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점점 낮아져 60대 이상(47.6점)에서 최저를 기록했다.
학력별로는 중학교 졸업이 45.3점으로 낮았고
고등학교(50.3점), 전문대(52.6점), 4년제 대학(54.3점), 대학원(62.5점)순으로 높았다.
소득별로는 월소득 100만원 미만(45.6점)에서 가장 낮았다.
다문화수용성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사이는 격차가 컸다.
수용성이 가장 낮은 하위 20%집단의 평균지수는
30.9점이었지만 상위 20%집단의 평균지수는 70.9점이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관계자는 "최초로 이뤄진 조사인 까닭에
다문화수용 정도가 어느 정도가 높고 낮은지에 대한 기준이 없다.
그러나 수용성 상위 20%그룹도 70점 내외임을 감안하면
다문화수용성을 지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것 같다"고 말했다.
'다문화 사회'
모두가 입버릇처럼 말하지만
정작 나는 다문화사회를 수용하고 있는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또, 우리 아이들에게 '다문화 갈등'을 겪지 않도록 잘 교육시키고 있는지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국가에서도 말뿐인 정책이 아니라
‘다문화 갈등’이 확산되지 않도록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을 시급히 해야할 것이다.
'다니고 싶은 학교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생님 감사합니다! (0) | 2012.05.15 |
---|---|
자식을 사랑한다는 것은 (0) | 2012.05.01 |
한국사람은 이래서 안돼! vs 희망의 대한민국 (0) | 2012.04.18 |
즐거운 교실, 교사하기 나름! (0) | 2012.04.17 |
학생이 맞고 있는데 교사들은 왜 가만히 있을까? (0) | 201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