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www.youtube.com/

 

 

 

젊은이들 낭만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배낭여행’에

이순재, 신구, 박근형, 백일섭 4명의 할아버지들이 도전한

<꽃보다 할배>가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각기 다른 성향과 다른 아버지상을 가진 이들의 평균나이는 76세.

의욕도 욕심도 감정도 메말랐을 것 같은 ‘노인’들의 부정적 고정관념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깰 수 있다.

실제 이들의 모습은 젊은이들 못지 않은 감수성과 유머,

삶에 대한 애정의 향기를 물씬 풍긴다.

 

 

외국어를 잘 하지 못하고,

젊은이들 만큼이나 건강한 몸을 가지지도 못했지만

여행을 앞두고 들뜬 이들의 모습과

스스로 여행지를 정하며 설레는 모습은

현대인들의 감성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고령화 사회에 들어선 우리사회지만

정작 ‘노인’들에 대한 존중과 배려 그들의 삶의 질을 위해

우리사회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 프로그램은 4명의 70대 배우들의 여행을 통해

젊은이들로 하여금 스스로의 미래를 투영할 수 있게 하여

더욱 큰 공감대와 따뜻한 감성을 자극한다.

 

 

‘꽃보다 할배’

세대간의 공감이 어려운 요즘,

어른들의 마음과 철학, 그들의 문화를

‘여행’이라는 젊은 세대들이 공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읽을 수 있는 즐거운 문화체험, 소통체험 이었다.

 

 

 

 

"좋은시민, 행복한 지역사회"

KACE시민리더십센터 www.kace.or.kr

 

 

 

'미디어 속 교육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을 치유하는 나눔디자인  (0) 2013.11.21
It's not your fault  (0) 2013.09.30
악동은 아름답다  (0) 2013.04.08
13살 아들에게 엄마가 스마트폰을 주며 하는 말  (0) 2013.02.21
레미제라블  (0) 2012.12.26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
지하철이 '폭행철'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한, 두 사건이 아니었지요. 최근 지하철에서 할머니가 한 아이의 머리를 만졌다고, 아이의 엄마가 할머니에게 욕을하며 폭행을 가했습니다. 논란이 가시기도 전에 지하철에서 다리를 꼬고 앉아있던 20대 청년이 80대 할아버지가 불편하다고 말을 하자, 청년이 할어버지에게 폭언을 퍼붓는 동영상이 또 인터넷 한 게시판에 또 올라왔네요. 지하철 막말남. 왜 이런 일이 빈번하게 발생할까요. 전자의 경우는 보는 시각에 따라 의견을 달리 할 수 있지요. 외국 같은 경우에 정도의 수위는 다르지만 아동의 머리나 신체를 만질 경우, 법으로 처벌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의 경우는 조금 다르지요. 특히 나이 지긋하신 할머니가 아이를 보고 귀여워서 머리를 만졌다고, 처벌한다는 것은 좀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외국과 한국은 사회문화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한국에서 남에게 손가락 질을 하게되면, 남을 흉보는 행동이라고 상대편이 기분 나빠할 수 있겠지만, 어떤 사람을 가르치거나 물건을 가르칠 때도 손가락 질을 할 수 있지요. 베트남에서 손가락 질을 하면 '널 죽이겠다'라는 뜻으로 여길 수도 있습니다.아이 머리를 만진 할머니께서 아동 머리를 만지는 것이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시겠습니까. 어른들이 어린이를 칭찬하거나 귀여워 할 때 "요녀석 귀엽구나"라고 말을 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니까요. 할머니가 아동에게 머리를 만졌다고 성폭력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미국식대로 처벌하는 것이 맞는걸까요?


 *지하철 할머니 폭행사건 소식을 듣고 한 커뮤티티 사이트(맘스홀릭)에 올라온 사진


물론 한편으로, 할머니에게 폭행을 가한 아이의 엄마 심정도 이해가 전혀가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할머니에게 폭핵을 가한 것은 분명 잘못입니다. 할머니에게 대화로 잘 설득하면 되는 것 아닐까요. 또 다른 측면에서 아이의 위생 보호 측면에서 할머니가 머리를 만진 것이 기분나빴다면, 할머니의 손이 더러운 것일까요. 지하철 공기 상태가 더러울까요. 후자의 경우(할아버지 폭언폭행)는 20대 청년이 분명 잘못했습니다. 나 혼자 편하다는 생각. 남이 불편하건 말건. 누가 딴죽걸지 않으면 마냥 지하철에서 소리를 지르거나, 휴대폰 통화를 하거나, 껌을 궤종시계 돌아가는리처럼 크게 쉽거나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어떤 분들은 지적을 하지만, 괜히 지적했다가 해를 당할까 두렵거나 귀찮아 외면하는 경우가 많지요. 아시다시피 한국은 고령화시대가 활짝 열렸지요. 지하철을 타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시간 구분없이 지하철에 어르신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른신들이 불편하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을 제대로 보고, 고령화시대를 맞아 최소한의 '인간에 대한 예의'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도덕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누구나 나이가 들고 어른은 다시 아이(행동,마음 등)가 되고, 아이는 내일의 노인이 된다고 서로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해보았으면 합니다.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정기 구독도 + ^ ^)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





중국 사람들이 ‘나라의 스승’으로 칭송하고 있는 지셴린. 중국의 살아있는 대학자다. 지세린의 나이는 98세. 지셴린을 글을 읽으면서 “어르신들의 지혜를 찾지 않는 사람들은 완고함과 집착과 어리석음으로 인해 눈이 먼 사람들이다”라는 인디어 추장의 경구가 떠오른다. 오래된 것 속에 미래가 있다고 한다. 지셴린이 생각하는 지혜를 찾아 잠시 글 여행을 떠나보자.

 

사람이 인생을 살면서 가장 많이 찾는 질문과 해답이 바로 ‘인생’과 ‘장수’, ‘죽음’과 ‘사랑’이다. 특히 인생과 관련해서는 수많은 학자들과 선각자들이 남긴 글들이 수두룩하다. 하지만 인생은 해답이 없다. 결국 자기만의 답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인생. 사람들은 누구나 오래 살기를 바란다. 하지만 오래 산다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다. 오래 사는 해법이 있다면, 전 세계 히트작이 될 것이다. 장수마케팅이 있다. 장수 와 관련된 다양한 상품과 안내서가 흘러넘친다. 하지만 인간이 오래 사는 것은 어떤 비결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고 지셴린은 경고한다.

 

누구나 늙는다. 하지만 자신이 늙는다는 것을 어떻게 받아 들이냐가 중요하다. 사람이 자신이 늙어다는 것을 인정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부인하지 못하는 현실 아닌가. 지셴린은 ‘차츰차츰’ 늙는 다는 것을 인정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자신이 늙었음을 차츰차츰 인식해간다면 인생이 쓰고 또 써도 마르지 않는 샘물이 아님을 깨닫는 동시에, 시간을 허비해서도 안 된다는 경각심을 갖게 된다”

 

사람이 늙으면 육체도 허약해지고, 정신도 혼미해진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상황을 인정하는 것. 사물도 세월이 가면 변모하는데, 사람인들 오죽하겠는가. 많은 사람들이 지셴린에게 장수의 비결을 묻자, 98세의 노학자는 “비결이 없는 것, 또는 비결을 찾지 않는 게 내 비결 이오”라고 말했다고 한다.

 

사실 비결은 사람을 오히려 피폐하게 만들 수 있다. 왜냐하면 너무 금기시 하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어떤 분들은 식사 때마다 자신이 먹는 전체 칼로리와 비타민 섭취량을 계산하는 사람들이 간혹 있다. 하지만 이들을 살펴보면 하나 같이 비쩍 마른 닭처럼 피골이 상접해 있다. 식비 또한 다른 사람의 곱절을 쓰면서. 지셴린은 백 배 현미경을 안경으로 만들어 쓰고 다니며, 온갖 미세한 세균까지 다 본다면 세상을 제대로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반문한다.

 

그러면 지셴린의 비결 없는 장수 비결은 무엇일까? 마음에 부담을 가지고 생활하지 말 것, 머리 굴리는 것을 게을리 하지 말고 계속 무언가를 생각하는 것을 중단하지 말라고 말한다. 단순해 보인다. 지세린 말대로 매일 생각을 굴려야 할 것 같다. 또 하나는 자신의 득실보다는 최대한 남을 배려하는 삶을 살아 라고 말한다.

 

마지막 말이 와 닿는다. 고령화 사회. 늙는 것은 아무도 잡을 수 없다. 출산율은 조정할 수 있지만 사람이 늙는 것을 어떻게 막을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결국 늙는다는 것, 나이듬에 대한 이해와 관용, 배려가 중요하다. 늙은 사람도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주는 것,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반추 마지막 삶을 불태울 수 있는 일을 만들어 주는 것이 고령화 사회를 대하는 바탕이 되어야 한다. 나이 들면 이 사회에 걸림돌이 되는 것처럼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 자신도 결국 늙지 않는가?

 

언제 죽느냐가 아니라, 지금 살고 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매일 매일을 한평생같이 사는 것. “일흔은 어린 아우요, 흔한 것이 여든이고, 아흔도 이상하지 않다”라는 말처럼, 인간 수명이 길어졌지만, 늘어난 인간 수명에 맞게 인생 2모작을 열어 갈 수 있는 인식과 문화의 지평이 넓혀졌으면 좋겠다. 고령화 사회를 이론이나 제도로만 풀 수는 이유이다.

 

인생의 비결은 비결을 찾지 않는 것, 장수의 비결은 비결을 찾지 않는 것. 끊임없이 배우고, 생각하고, 쓰고 갈구하는 것이라는 것을 대학자, 중국의 대학자 지세린의 이야기는 새겨 들을 만 하다.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정기 구독도 + ^ ^)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

KACE Story



서울 송파구의 어느 양로원.
'아가씨가 양로원에 왠일일까?' 다들 궁금해 하는 눈치다.

5분, 10분 …, 한 시간, 두 시간 …
이야기도 하고, 맛있는 것도 나눠먹으며 조금씩 마음을 연다.

사진을 찍어도 되겠냐고 여쭸더니
"쪼글쪼글~ 예쁘지도 않은 사람 찍어 뭣하겠냐"며 거절하시는 듯 하더니
못내 옷매무새도 다듬고, 거울도 한 번 보고, 사진 찍을 준비를 하신다.

자주 뵙지도 못하고, 한 번 가고 말 거라면
차라리 처음부터 가지 않는게 나은 거 아닐까하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그 한 번이 얼마나 큰 따뜻함으로 전해지는지
나는 생각을, 마음을 고쳐먹는다.

함께 하는 것, 
손 한 번 잡는 것,
그것만으로도 그들에게 행복한 하루를 선물한다는 걸.
그들 또한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우리보다 먼저 살았던 멋진 선배임을 …

인생의 선배로서 사랑하는 후배들에게
이런저런 해주고 싶은 얘기들이 많지만
표현이 서툴어 툭툭 내뱉는 말 속에
정겨움 가득했던 그분들이 문득 떠오른다.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정기 구독도 + ^ ^)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에듀앤스토리
: